과연 그럴까?
전세계인들은 오바마에 열광하는데 한국인들만 반대로 오바마에 냉정할까? 결론은 한마디로 그렇지 않다. 한국인들의 오바마 선호도는 66%에 달할 정도로 우호적이다. 이미 조사결과에서도 '한국인 오바마 美대통령 선호도 66.2% ' 로 나오고 있다. 뉴스에 의하면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6자회담 참여국 정상들의 이미지를 조사한 결과, 우리나라 국민들의 주변국 정상 선호도에서 미국 오바마 대통령이 1위를 차지했고 오바마 대통령이 66.2%의 선호도를 기록했다는 것. 작년 7월 당시 부시 대통령의 선호도가 15.5%로 낮은 수치인 것과 비교하면 오바마는 부시 보다 50%나 훨씬 더 높은 수치이다. 최근 2MB의 지지율은 20%대에 머물고 있다.
한국인의 선호도는 오바마 66.2%, 부시 15.5%, 2MB는 20%대인 셈이다.
그런데, 왜 중앙선데이는 한국인이 오바마를 비판적 논조로 보는 것일까? 쿨(cool)이란 단어가 갖는 '멋진'이라는 해석 대신에 왜 '냉정'이라는 부정적 의미로 자학을 했을까?
중앙의 필자는 "우리는 왜 오바마를 ‘쿨’하게 대할까. 나름대로 원인을 분석해 봤다. ‘걱정도 팔자’라지만 우려할 만한 것도 나타났다."면서 그 주장을 얘기한다. 한마디로 논리적 근거도 없는 '나름대로'식 주장이란 의미다. 아무리 칼럼이라 하더라도 논리적 근거나 사실적 기반을 바탕으로 해햐 하는데 필자는 자기 마음대로 지면을 낭비한 것이나 다름없다.
중앙선데이식 논리적 근거를 요약하면 이렇다.
-국제 문제에 대한 무관심 때문이다. 한국인의 내면 깊숙이엔 아직도 폐쇄성, 혹은 내향성이 자리 잡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서 우리나라만큼 국제 뉴스 비중이 빈약한 나라도 없다. 모든 게 국내 뉴스 중심이다.
-‘반미주의’가 한 원인인지 모른다. 우리의 인식 바탕엔 미국은 ‘나쁜 나라’며 미국에서 누가 대통령이 되건 “그놈이 그놈”이라는 사고가 깔려 있다.
-반대로 ‘친미주의’가 원인인지 모른다. 지난 8년 동안 세계는 조지 W 부시의 미국을 미워했다. 세계인의 ‘오바마 사랑’은 부시에 대한 증오의 산물이기도 했다. 부시에 대한 우리의 반감은 그리 깊지 않았다. 누가 되건 상관없으면 승리의 희열도 없다.
-한·미 경제관계 전망이 한 원인이다. 오바마 행정부의 등장으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난관에 봉착하고 미국에 보호무역주의가 등장할 가능성 때문에 우리는 오바마를 마냥 사랑할 수 없다.
-우리는 북한과 무조건 대화한다는 오바마의 등장이 가져올 북·미관계와 한·미관계의 거대한 불확실성을 두려워한다.
-기시감 때문이다. 한국인은 지난 몇 차례 대통령 선거에서 엄청난 기대와 이어지는 실망을 경험했다. 우리는 정치 세계에 메시아란 없다는 것을 알고 있다.
중앙의 주장은 한마디로 '황당무계'하다. 지나가는 소가 웃을 일이다.
첫째, 한국인들이 언어장벽 때문에 오바마에 냉정하다고? 그러면 프랑스나 독일은 영어를 잘하나? 일본은 영어를 잘하드냐? 아프리카인들이 영어를 잘하냐? 아프리카는 대부분 국가가 자국 모국어 문맹률도 엄청나게 높은데 언제 영어를 그리 잘 하더냐? 동남아나 중남미 국가들도 마찬가지로 영어를 거의 못한다. 중앙선데이는 어디서 그런 하무맹랑한 헛소리를 하는지 한심하다.
둘째, 한국인들이 국제문제에 무관심해 오바마에 냉정하다고? 또 한번 중앙이 개그 작렬하네. 우리나라 사람들 만큼 국제문제에 관심있는 국민도 없을 것이다. 우리나라 국민들은 남북분단이라는 태생적 한계는 물론 4대 강대국에 둘러싸인 반도 국가라는 현실과 자원이 없어 해외수출이 중요한 국가이다. 따라서, 한국인들은 어려서부터 영어를 배워야하고 국제문제에 늘 긴장하는 국민이다. 오히려 유럽 일본 아프리카 동남아 등 국가들이 우리 보다 국제문제에 관심이 적다.
셋째, 반미주의나 친미주의 때문에 한국인들이 오바마에 냉정하다고? 무슨 '귀신 씨나락 까먹는 소리'인가. 반미주의나 친미주의가 강하면 한국인들이 오히려 관심이 높다는 의미 아닌가? 미국에 무관심해서 한국인이 오바마에 냉정하다면 모를까. 반미주의 또는 친미주의로 인해 오바마에 냉정하다는 논리는 아무런 논리적 기초도 없는 헛소리다.
넷째, 한미자유무역협정(FTA)의 봉착이나 미국의 보호무역주의가 등장할 가능성 때문에 한국인이 오바마를 사랑하지 않는다고? 결국 중앙의 주장은 보수신문과 맞지 않는다는 것을 실토하고 있다. 부시와 달리 오바마가 변화를 추구하고 진보적인 정치인이라서 중앙이 싫어한다는 얘기나 다름없어 보인다. 국민들의 조사결과의 주장이 아니라 순전히 중앙 필자의 근거가 빈약한 얘기일 뿐이다.
다섯째, 북한과 대화한다는 오바마가 싫단다. 드디어 중앙이 확실히 본색을 드러낸다. 정치나 국제관계에서 대화는 가장 기본적인 것인데 북한과 대화는 안된다는 것이다. 중앙식 생떼쓰기다. 어떻게든 남북 평화를 위한 대화가 선행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중앙은 대화마저 안된단다. 참으로 어처구니 없는 주장이다. 중앙의 마음에 들지 않는 상대와는 대화하지 말라는 얘기인가?
여섯째, 기시감(일종의 과거에 경험한 느낌) 때문에 오바마를 싫어한다고? 중앙이 말이 안되니 현학적 용어를 썼네. 그러면 그 이전의 부시는 왜 기시감이 없었냐고 답해 보시라. 부시는 기시감이 없고 오바마는 있다는 궤변은 왠 말이냐. 참으로 개탄스러운 주장이다. 억지로 꿰어 맞춰 오바마를 무시하려고 하니 말이 꼬이는 것이다. 기시감 때문에 국민들은 보수신문 기사에 냉정하다고 말하면 믿겠다.
기시감(旣視感)이란 처음 보는 대상을 이전에 보았다는 느낌을 받는 현상을 말한다. 프랑스어로 '이미 본'이라는 뜻인 데자뷰(déjà vu)라는 용어가 널리 쓰인다.
기시감이 드는 원인으로는 인간이 정보를 뇌에 저장할 때에 원래 정보보다 간략화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두 가지 정보가 서로 다르더라도 간략화하여 같아진다면 같은 정보라고 느끼기 때문이라는 견해가 있다.
중앙선데이의 허무맹랑한 주장을 보니 한심한 따름이다. 그래도 대표적인 국내 신문사 중 하나인데 초등학생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논리 수준에서 오바마를 비판하다니. 차라리 '중앙은 오바마가 싫다'고 주장하는 것이 더 떳떳해 보인다. 괜히 한국인들을 들먹거리면서 오바마에 냉정한 이유에 대한 궤변을 늘어놓는 모습이 참으로 가련하다.
차라리 진보적인 오마바가 싫다고 커밍아웃해라
미국에서도 뉴욕타임즈를 비롯한 보수신문사들이 선거 기간 중 오바마에 비판적 논조를 견지했다. 우리나라의 중앙선데이가 오바마를 비판할 수 있다. 그렇지만 옹졸하게 숨어서 저격하지 말자. 당당하게 중앙은 오바마가 이래서 싫다고 주장해라. 왜 전혀 관계없는 한국인들 팔아서 자신의 주장을 숨기는가. 중앙선데이는 선데이서울이 아니다. 국내에서 손꼽히는 3대 일간지 중의 하나인 중앙일보의 자매지이다. 주장을 하려거든 똑바로 해라. 차라리 커밍아웃해라. '중앙은 오바마가 싫어요"라고.
'나대로 분석하는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포 연쇄살해범 사진, 조선-중앙 공개 이유? (18) | 2009.01.31 |
---|---|
흉악범은 마스크써도 되고 시민은 안된다? (16) | 2009.01.30 |
최홍만의 고에몽 출연이 안타까운 이유 (158) | 2009.01.27 |
'한국인,오바마에 쿨한 이유' 무슨 소리? (12) | 2009.01.26 |
북한 땅굴과 남북전쟁 위기감에 대한 단상 (2) | 2009.01.18 |
부시 대통령, 미국 역사상 최저 22% 지지율 의미 (4) | 2009.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