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준표 꽃남 '로망'과 워낭소리 '향수' 이상한 공존 사회?
현재의 대한민국을 보면 혼란스럽기 그지 없습니다. 정치사회를 보면, 이미 흘러간 이데올로기의 유령이 백주대낮에 활보합니다. 불황은 고단하고 팍팍한 삶을 짓누릅니다. 치열한 탐욕과 경쟁의 시대는 현실도피를 부릅니다.
막장 판타지 드라마 오명을 듣는 '꽃보다 남자'가 고공행진을 하고 있습니다. 또 한편에선 옛날 신파극을 연상케하는 독립영화 '워낭소리'가 폭발적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상호 존립하기 어려울 듯한 두가지 상반된 이념이 어울리지 않게 이상한 공존을 합니다.
왜 그럴까요?
정치는 불신의 골이 깊어졌고 경제는 어렵고 살기 힘드니까 사람들은 현실에서 이룰 수 없는 판타지의 세계 속으로 빠져듭니다. 다른 사람들은 다시는 되돌아갈 수 없는 과거의 향수에 젖어 들어갑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벌어지는 '꽃보다 남자(꽃남)'와 '워낭소리'라는 양극단의 문화는 일찍이 존재하지 않았던 문화코드입니다. 우리네 인생들은 이룰 수 없는 환상과 돌아갈 수 없는 과거이지만 잠시나마 현실의 시름을 잊어보는 것입니다.
그러면, '꽃보다 남자'와 '워낭소리'라는 양립할 수 없을 듯한 두 문화코드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꽃미남 10대 구준표와 79세 최원균 할아버지, 극단의 주인공
구준표는 10대 고교생인데 고급 스포츠카를 몰고다니고, 최원균 할아버지는 초라한 소달구지를 타고 다닙니다. 스타벅스의 여성들과 소녀 시청자들은 구준표와 금잔디의 키스와 초호화 해외관광지의 애정행각 이야기에 빠져있고, 중장년층 관람객들은 불쌍한 늙은 소와 촌로의 삶에 가슴 찡한 감동을 이야기합니다.
우리나라 드라마와 영화에서 이토록 극단의 주인공이 동시에 각광을 받은 적은 처음일 듯 합니다.
고교생의 호화로운 도시 소비 생활과 시골 촌로들의 척박한 노동 생산
꽃남들은 경쟁과 암투 속에서 연애를 하고 소비를 즐기고, 촌로들은 헌신적인 자연과의 교감 속에서 생산을 합니다. 한편의 사람들은 고급 스포츠카를 몰고 해외의 호화 리조트를 다니며 안하무인으로 살 수 있는 '무례한 구준표'를 통해 욕망을 대리 실현합니다. 꽃남들은 명품 브랜드로 치장된 소비를 상징하고 한 여자 금잔디를 소유하기 위한 경쟁의 구도입니다.
다른 한편의 사람들은 촌로들과 늙은 소의 이야기에서 정직하고 성실한 인생과 노동의 신성함을 재발견하고 느림의 미학에 감동합니다. 우리의 조상들에 그렇게 살아왔던 것과 같이 촌로들의 삶 속에서 부모와 가족을 발견하고 헌신적 사랑과 존재의 의미를 느낍니다. 그것은 가난했지만 따뜻했던 옛 시절과 푸근한 고향의 정서를 자극하는 향수입니다.
제작비 70억원 24부작 드라마와 제작비 2억원 78분 독립영화의 재해석
꽃남이 메이저 방송사의 대대적 광고 공세와 주류 언론사들의 펌프질에 힘입어 쉽게 인기 가도를 달렸지만, 워낭소리는 소규모 영화관의 전단지로 시작해 관람객의 입소문을 타고 블로거들의 소개가 이어지면서 작은 바람이 커다란 광풍이 된 사례입니다.
그러나, 워낭소리는 이미 관객 200만명을 돌파하고 고공행진하고 있습니다. 반면 꽃남은 막장드라마의 오명을 듣지만 시청률 33%라는 최고 드라마의 반열에 오릅니다. 앞으로가 문제입니다. 꽃남은 회를 거듭할수록 점차 동력을 잃어갈 것입니다. 그렇지만 워낭소리는 300만을 향해 더 나아가 400만의 고지를 넘어 독립영화 사상 최고의 기록을 갈아치울 것입니다.
꽃남은 드라마가 끝나면 신기루처럼 사라질 환상이지만, 워낭소리는 비록 작지만 멀리 메아리치는 현실의 메시지이기 때문입니다. 워낭소리가 몰고 올 사회적인 자산과 문화의 재발견이 우리 사회를 보다 건강하게 살찌울 토양이 될 것입니다.
<꽃보다 남자> 대 <워낭소리> 주요 특징 비교
구분 | 꽃 보다 남자 | 워낭소리 |
주인공 | 고급 스포츠카 타는 부잣집 아들들 10대 구준표 외 꽃남들과 금잔디 |
가난한 농촌 촌로 부부와 늙은 소 최원균 부부와 소 |
주요 시청자층과 관객층 | 10대~30대 여성층 | 중장년층 |
흥행 성과 | 약 33% 시청률 | 200만 관객 돌파 신기록 진행중 |
제작비용 및 방영시간 | 약 70억원, 24부작 | 약 2억원, 78분 |
장르 | 판타지 드라마 | 휴먼 다큐멘터리 독립 영화 |
촬영 공간 | 도시, 학교 | 농촌, 들판 |
주요 의미 | 백마탄 왕자의 환상 | 고향과 아버지의 향수 |
주요 키워드와 정서 | 연애, 경쟁, 소비, 과시, 환상, 부자, 방탕 | 헌신, 복고, 가족, 향수, 가난, 노동, 생산 |
주요 마케팅 | 메이저 방송사와 주류 언론들 | 소규모 전단지와 블로거들 |
'사람 사는 세상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근영이 천사인 3가지 이유 "소통과 나눔" (51) | 2009.03.04 |
---|---|
인디언추장과 채플린이 식당에 왜 있지? (6) | 2009.03.03 |
구준표 꽃남 '로망'과 워낭 '향수' 이상한 공존? (0) | 2009.03.02 |
결벽증 노홍철 대 더티맨 정형돈 누가 결혼상대일까? (3) | 2009.03.01 |
야생에서 호박 먹는 토끼 부부, 순간 포착 (4) | 2009.03.01 |
10살 딸도 감동한 워낭소리, 세대 관통한 소통 (12) | 2009.03.01 |